프로그래밍/Linux 프로그래밍/Linux 2024. 4. 12. [study] LVM(Logical Volume Manager) 절차 정리 LVM (Logical Volume Manager) 절차하드디스크 파티셔닝 ->PV 생성 -> VG 생성 -> LV 생성 -> 파일 시스템 포맷 -> 마운트1. 하드디스크 파티셔닝 (Hard Disk Partitioning) 파티션이란?- 디스크 공간의 분할을 의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기억 공간을 별도의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다.- 파티션의 최소 단위는 섹터이며 실제 자료가 저장되는 단위이다. (1sector = 512byte) 파티션 하는 이유- 공간 사용 시 서로 다른 공간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파티션 간 서로 다른 OS를 설치해서 사용할 때 이용 파티션 하는 방법- fdisk 명령어를 통해 디스크 파티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IDE 디스크인지, SCSI 디스크인지에 따라 장.. 프로그래밍/Linux 2024. 3. 12. [study] Makefile Makefile이 필요한 이유1. 반복되는 컴파일 작업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2. 수정된 파일만 컴파일 할 수 있다.3. 대규모 프로젝트, 공동 프로젝트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Makefile 이해*.c (소스파일) -> 인간이 이해하는 언어 (vi, vim, visual studio.. 로 작성)*.o (목적파일) -> 기계가 이해하는 언어 (gcc compiler 필요) a.out (실행파일) -> 기계어와 라이브러리를 링크해서 실행파일을 만들어준다.*.c => *.o => a.out : 컴파일 과정 기존 실행파일 만들어지는 과정1. 함수를 가지고 있는 .c 파일을 여러개 생성한다.2. .h 헤더파일을 생성해서 해당 함수들의 원형을 넣어준다.3. #include "~.h" 로 각각의 .c 파일에 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