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 (Local Area Network)
: LAN 이란, 근거리 통신망, 로컬 영역 네트워크 등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기술적으로 설명하자면, 네트워크 매체를 통해 동일한 Subnet mask, 즉 같은 IP 대역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매체와 컴퓨터를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전에 Subnet mask를 통해 묶은 하나의 네트워크가 이 LAN이라고 볼 수 있다.
WAN (Wide Area Network)
: WAN이란 말 그대로 서로 멀리 떨어진 지역의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네트워크이다.
LAN과 LAN을 연결하는, 더 넓은 범위에서의 광역 네트워크라 할 수 있다.
LAN 통신
: LAN으로 묶인 동일한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IP의 네트워크에 속해야 하며,
이 말인 즉슨, 송신자와 수신자는 Subnet mask가 동일 해야한다.
일반적으로 PC에는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LAN 카드가 1개 존재한다.
여러 PC 또는 장비들을 연결해주고 싶다면, Hub (허브) 나 Switch (스위치) 와 같은 장비를 사용한다.
이러한 장비들은 다수의 LAN 카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장비를 연결할 수 있다.
WAN 통신
: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Router (라우터) 라는 장비가 필요하며, 이 라우터란,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간의 경로(Route)를 설정하고 가장 빠른 길로 트래픽을 이끌어주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라우터는 여러 네트워크와 연결되며 각각 연결된 곳을 interface (인터페이스) 라고 한다.
각 인터페이스는 무조건 서로 다른 네트워크여야 하며, 각자 다른 네트워크 ID를 가진다.
라우터가 어떠한 패킷을 받게되면, 패킷의 목적지 IP주소를 확인 후 해당 IP 주소가 속하는 인터페이스로
패킷을 전달하고, 목적지 IP주소가 속하는 인터페이스가 없을 시, '라우팅 테이블'을 참고하여
알맞는 인터페이스로 전달한다.
여기서 라우팅 테이블이라는 것이 나오는데, 위의 상황처럼 목적지 IP가 현재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중에
없으면 참고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며, 즉 자신이 모르는 네트워크에 속하는 IP일 때 참고한다.
라우팅 테이블 형식)
[목적지 네트워크] [next-hop IP (다음으로 패킷을 전달할 IP)]
ex) [10.20.30.0/24] [200.0.0.1]
: 패킷의 목적지 네트워크가 10.20.30.0/24 에 속하면, 200.0.0.1 로 전달한다고 명시한 것이다.
또한, 라우팅 테이블에는 default route 라는 특별 경로가 있을 수 있는데,
이 뜻은 목적지 네트워크가 0.0.0.0/0 라는 것이고, 해당 네트워크는 '모든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0.0.0.0/0] [5.6.7.1] 이면, 모든 네트워크에 대해 전부 5.6.7.1 로 전달하라는 것이다.
+) 만약, 패킷의 목적지 IP가 자신의 인터페이스에도 속하지 않고, 라우팅 테이블에도 없을 땐 패킷을 버린다.
라우팅 테이블 우선순위)
목적지 네트워크로 가는 경로가 라우팅 테이블에 2개 이상 있을 경우,
목적지 네트워크가 가장 상세하게 나타나 있는 것을 선택한다. (Longest Match Rule)
ex)
A [100.100.0.0/16] [100.100.100.1]
B [100.100.1.0/24] [100.100.100.2]
해당 라우팅 테이블이 있을 때, 100.100.1.1 을 목적지 네트워크로 가지는 패킷이 온다면,
목적지 주소가 가장 길게 일치하는 B, 100.100.100.2 로 패킷이 전송된다.
'프로그래밍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y]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0) | 2025.02.20 |
---|---|
[study] IP (Internet Protocol) (0) | 2025.02.20 |
[study] 뮤텍스 (Mutex) (1) | 2024.09.19 |
[study] 스레드 (Thread) (2) | 2024.08.31 |
[study] 프로세스 (Process) (2) | 2024.06.02 |